전체 글 (61) 썸네일형 리스트형 Earth Day and Russian Oil Spill in Norilsk Power Plant 1. What is Earth Day? People all over the world made one special day to help keep Earth clean and healthy. It’s April 22, Earth Day. On Earth Day people around the world find ways to help keep the environment healthy in many ways. They plant trees and pick up trash. They turn off all the lights for an hour and have a car-free day. On a car-free day people walk or move around by riding bicycles i.. 알랭 드 보통이 이야기하는 알베르 카뮈의「페스트」 보보의 리딩노트, 오늘은 뉴욕타임즈의 사설에 실린 알랭 드 보통의 글을 소개해드립니다. Opinion | Camus on the Coronavirus He reminds us that suffering is random, and that is the kindest thing one can say about it. www.nytimes.com 1941년 알베르 카뮈는 사람과 동물들 사이에서 무섭게 퍼져나가서 결국은 알제리 해안가 마을 오랑의 인구의 반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바이러스에 대한 이야기를 써내려가기 시작하였다. 1947년에 출간된 '페스트'는 전후시대 유럽 최고의 걸작이라 평가받는다. 소설의 초반, 도시에는 무언가 으스스한 일상의 기운이 감돈다. 마을의 주민들은 자본중심적인, 변질된 삶을 살고 있.. 딥페이크(Deepfake)-당신이 보고있는 것은 가짜입니다. 보보의 뉴스노트, 오늘은 딥페이크와 관련된 이슈를 살펴봅니다. AI를 사용한 비디오/오디오 편집기술이라는 것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딥페이크가 어떤 문제점을 야기하는지 전문가의 설명을 들으며 하나하나 짚어보도록 합시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유명인들을 곤혹스럽게 만드는 새로운 기술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보겠습니다. 오바마가 트럼프를 '한심한 놈'이라고 불렀던 영상 기억하시나요? 킴 카다시안이 랩을 한 영상도 보셨나요? 아놀드 슈왈제네거가 자신의 성대모사를 했던 영상도 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 영상들은 모두 딥페이크(Deepfake)입니다. 여러분들이 모시는 제 모습도 딥페이크입니다. 저는 아델이 아니에요. 저는 온라인 조작을 연구하는 전문가입니다. 딥페이크는 인공지능(AI)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비디오나 .. 렘데시비르 실혐결과 유출! WHO가 공개했다가 바로 삭제한 내용은? 보보의 뉴스노트, 오늘은 렘데시비르에 대한 TIME의 기사입니다.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이 기대했던 것만큼의 효과를 보이지 못하면서 다른 대안이었던 렘데시비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WHO 사이트에 실험결과가 공개되었습니다. 그리고 바로 삭제되었죠. 이게 무슨 해프닝이었는지, 게시물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있었는지 관련 기사 읽어보며 렘데시비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Leaked Data on COVID-19 Drug Showed No Benefit Researchers in China report on their experience with remdesivir, which differs from that of scientists in the US so far time.com Covid-19 치료제로 가능성.. [영어사설]응석받이의 시대는 끝났다 by 데이비드 브룩스 보보의 뉴스노트, 오늘은 데이비드 브룩스의 뉴욕타임즈 사설입니다. 데이비드 브룩스는 [인간의 품격], [소셜애니멀], [보보스]와 같은 사회문화 현상에 관한 책을 쓴 뉴욕타임즈의 대표 저널리스트입니다. (저는 [인간의 품격]을 읽었는데, 여전히 저의 인생 책 중 하나랍니다.) 저도 다양한 연령대의 아이들을 교육하는 입장에서 평소에 이런 생각을 정말 많이 하는데, 이렇게 정확하게, 강력하게 대신 이야기해주는 글을 만나니 속이 시원해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 글은 자녀를 둔 모든 부모님들이 읽으시길 권해드립니다. 지난 수십년 동안 '안전제일주의'의 물결이 미국을 뒤덮었다. 그렉 루키아노프와 조나단 하이트가 그들의 책 "The Coddling of the American Mind"에서 이야기한 이 정신은 당.. 포스트 코로나 - 코로나19 전후의 달라질 세계를 상상해봅니다. 보보의 뉴스노트, 우리나라는 이제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향합니다. 끝날 것 같지 않았던 이 사태가 조금씩 안정국면에 접어들면서-아직 사회적 거리두기가 유지되긴 하지만- 한국은 생활방역에 집중하고 코로나사태 전의 일상으로 돌아가려는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뉴 노멀의 세계에 발을 디딘 이상, 팬데믹이 종식된다고 해도, 이전과 똑같은 노멀의 상태는 아닐 것이라고 Discover Magazine은 말합니다. 코로나사태 전, 후 과연 어떤 점들이 달라질지 기사를 통해 살펴봅니다. 쓰나미같은 전세계적 팬데믹의 충격은 미래의 예측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내년은 차치하고 바로 다음 주를 상상하는 것조차 불가능하게 느껴진다. 하지만 행동과학과 역사의 흔적은 Covid-19이 장기적이 관점에서 우리의 일상생활을 바꾸어 .. 코로나 완치자의 재확진 이유? 재감염의 미스터리를 풀어라! 보보의 뉴스노트, 오늘의 픽은CNN에 보도된 한국의 코로나바이러스 완치자 재감염 미스터리에 대한 기사입니다. 신종 바이러스란 것이 무섭긴 하군요.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너무나 많다보니 이해할 수 없는 상황들이 계속 생겨나며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환자들을 두렵게 하고 있어 걱정스러워요. 한국의 의료진들은 현재 미스테리를 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로부터 완치된 환자들 중 163명이 재확진 판정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와 비슷한 사례는 중국에서도 이미 보고된 바 있다. 완치 환자들에게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상이 다시 나타났고 재확진 되는 케이스가 있었다. 이러한 사례들은 당연한 질문을 던진다. 코로나바이러스에 재감염될 수도 있는가? 한국의 재확진 비율은 낮다. 한국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완치자.. 그래피티 아티스트 뱅크시(Banksy)도 재택근무 중 보보의 비주얼 노트는 시각적, 스타일과 관련된 소식, 뉴스를 전합니다. 오늘은 Vandal Artist 뱅크시(Banksy)의 작품이 나온 CNN의 뉴스입니다. 재택근무 중의 무료함과 지루함이 이렇게 표현된 것 같은데, 너무 귀엽기도 하고, 재기발랄하기도 하네요 :>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재택근무는 전세계 모든 사람들이 그들의 일상 생활에 나타난 새로운 변화에 재적응하고 있다는 의미겠지요. 이는 곧 자신의 삶의 백그라운드가 되는 집을 새로운 상황에 맞추어 바꾸고 가고 있다는 의미기도 합니다. 스트리트 아티스트인 뱅크시도 작업 환경을 바꾸어 야외에서 이루어지던 그의 작업활동을 실내로 옮겨왔습니다. 그는 수요일 인스타그램에 "부인이 내 재택근무를 싫어함."이란 코멘트와 함께 한 무리의 생쥐 떼가 화장실에서 .. 이전 1 2 3 4 5 6 ··· 8 다음